분류 전체보기105 [운영체제] 운영체제의 메모리를 관리 전략 운영체제가 메모리 관리를 해야 하는 이유:프로세스 간의 메모리 충돌 방지: 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져야 합니다. 메모리 충돌을 방지하지 않으면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덮어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B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A 프로세스가 B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침범한다면 끔찍한 일이 발생할 것이다. 효율적인 자원 활용: 메모리는 제한된 자원이기 때문에,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될 때 메모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메모리 보호: 악성 코드나 잘못된 프로그램이 중요한 시스템 메모리를 침범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프로세스 간의 메모리 공유: 일부 프로세스들은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적절.. 2024. 9. 10. [kotlin] 지역변수, 전역변수, 정적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역변수(Local variable)기본개념: 지역변수는 중괄호 내부에서 선언되어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며, 함수나 블록의 실행이 끝나면 메모리에서 자동으로 해제된다.fun exampleFunction() { val localVar = "I am a local variable" println(localVar) //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println(localVar) // 오류: localVar는 exampleFunction 밖에서 접근할 수 없습니다.전역변수(Global Variable)기본개념: 지역변수와 달리 중괄호 외부에서 선언되는 변수로, 어디서든지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파일 최상단에 변수를 선언하면 그 파일 내에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val globa.. 2024. 9. 2. [TIL] 08.27 데일리 면접 준비 https://1chanhue1.tistory.com/87 값 형식 / 참조 형식 이란 ?값 형식과 참조 형식 값 형식(Value Types) : 변수가 값을 담는 데이터 형식, 스택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스택은 빠른 메모리 영역으로, 값 형식의 데이터는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되어1chanhue1.tistory.comhttps://1chanhue1.tistory.com/88 [kotlin 문법] val, var 의 차이val (Value)설명: val은 불변 변수(immutable variable)를 선언할 때 사용됩니다. 변수 선언 시 초기값을 할당한 후, 그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는 변수의 읽기 전용(read-only) 특성을 부여합니다.사용1chanhue1.tisto.. 2024. 8. 27. [트러블슈팅] ScrollView와 RecyclerView의 충돌 -> NestedScrollView 다음과 같은 화면을 구현 도중에 스크롤뷰가 끝까지 스크롤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자료를 찾아본 결과 ScrollView 내부에 RecyclerView가 포함될 경우, RecyclerView가 자체적인 스크롤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스크롤 이벤트가 충돌이 발생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해결 하기 위해 ScrollView 대신 NestedScrollView를 사용하면 된다는 정보를 얻게 되었습니다 ! -> ( 추후에 NestedScrollView 의 문제점도 설명) 나중에 설명하자 2024. 8. 27. 이전 1 ··· 3 4 5 6 7 8 9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