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Android6 [android] 구글 권장 앱 아키텍처 중 UI Layer 란 ? UI Layer 란 UI Layer의 역할은 화면에 앱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따라서, 사용자 상호작용(ex. 버튼 누르기) 또는 외부 입력(ex. 네트워크 응답)으로 인해 데이터가 변할 때마다 변경사항을 반영하도록 UI가 업데이트 되어야 함사실상 UI Layer는 Data Layer에서 가져온 앱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관심이 있다.즉 정리하자면,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어! 데이터 바뀌었다!"하고 해당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하고 반영하는 것이 UI 레이어의 역할이다. UI 레이어는 버튼을 누른다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이 도착했다거나 등 상태 변화에 따라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한다.UI Layer 에는 구성 요소 두 가지로 나눠짐- UI elements : UI 요소가 갖는 본질적인 상태 즉,.. 2025. 5. 2. [Android] 액티비티(Activity)와 생명주기(Lifecycle) 안드로이드 앱은 크게 Activity, Service,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 4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된다.각각의 컴포넌트들의 기능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Activity는 화면에 보여지는 부분의 기능,Service는 화면이 없지만 동작하는 기능,Broadcast Receiver는 시스템에서 전달하는 알림을 수신하는 기능,Content Provider는 보안상의 문제로 선택적으로 시스템의 파일을 제공해주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Activtiy는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중 하나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UI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Acitivty-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 자동으로 activity 와 매칭되는 xml을 생성.. 2024. 9. 13. [Android]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들로, 각각의 컴포넌트는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며,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에는 액티비티(Activity), 서비스(Service), 방송수신자(Broadcast Receiver), 콘테트 제공자(Content Provider)가 있다.특징으로는 각 컴포넌트는 독립적으로 존재각 컴포넌트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각 컴포넌트는 인텐트를 통해서 서로 상호작용 1. Activity (엑티비티)액티비티는 사용자가 앱과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화면을 의미하며 사용자에게 드러나는 화면을 의미한다.Application에 화면이 하나도 없으면,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없으므로 적어.. 2024. 9. 11. [안드로이드] Hilt에서 @Binds와 @Provides의 차이 @Binds vs @Provides공통점@InstallIn로 정의된 모듈 내부에서 종속성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Binds :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연결하는데에 사용된다.@Binds의 메서드는 추상 메서드여야 한다.고로 abstract 키워드를 요구한다.@Binds 메서드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여러개의 인터페이스 구현체를 연결할 수 없다.주입될 타입은 인터페이스이다.@Provides : 종속성 객체를 생성, 제공하는 메서드를 정의할 때 사용된다. (@Binds 외의 경우)종속성을 제공하는데에 의미가 있으므로, 반환값이 존재해야 한다.복잡한 종속성을 제공하거나 외부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데에 사용된다.주입될 타입은 인터페이스, 클래스 등 다양하다. 2024. 9.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