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코틀린 스코프 함수 let, with, run, apply, also 차이 비교 정리
1. let 1. 수신객체를 받기 위해서 it 을 사용(생략 불가능), 명시적으로 local variales 선언 가능 2. 마지막 줄이 return 값 ( 람다식과 동일한 것을 볼 수 있음) 3. let을 많이 쓰는경우 ? non-null 체크 사용 예시class User( val name: String, var age: Int, val gender: Boolean, var hasGlasses: Boolean)val user: User? = User("나", 10, true,true)val age = user?.let { it.age //it으로 받음 , 마지막 줄 it.age가 리턴됨}val age1 = user?.let { use..
2023. 8. 10.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