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 [android] 구글 권장 앱 아키텍처 중 UI Layer 란 ? UI Layer 란 UI Layer의 역할은 화면에 앱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따라서, 사용자 상호작용(ex. 버튼 누르기) 또는 외부 입력(ex. 네트워크 응답)으로 인해 데이터가 변할 때마다 변경사항을 반영하도록 UI가 업데이트 되어야 함사실상 UI Layer는 Data Layer에서 가져온 앱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관심이 있다.즉 정리하자면,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어! 데이터 바뀌었다!"하고 해당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하고 반영하는 것이 UI 레이어의 역할이다. UI 레이어는 버튼을 누른다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응답이 도착했다거나 등 상태 변화에 따라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한다.UI Layer 에는 구성 요소 두 가지로 나눠짐- UI elements : UI 요소가 갖는 본질적인 상태 즉,.. 2025. 5. 2. [kotlin 프로그래머스] 우주신과의 교감 1774 (with kotlin) package com.chanhue.algorithm.백준.골드import kotlin.math.sqrtfun main() { // N: 우주신의 수, M: 이미 연결된 통로 수 val (n, m)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 각 우주신(혹은 황선자)의 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리스트 val node = mutableListOf>() // 이미 연결된 통로 정보 (정점 번호 쌍) val alreadyConnected = mutableListOf>() // 좌표 입력 받기 repeat(n) { val (x, y)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 2025. 4. 19. [kotlin] 별자리 만들기 별자리 만들기 문제 및 입출력 풀이 접근 별자리를 잇는다? -> 그래프 형식으로 나오겠구나 ?선을 하나 이을 때마다 두 별 사이의 거리만큼의 비용이 든다고 할 때, 별자리를 만드는 최소 비용 -> 최소신장트리(MST)를 구축하면 되겠구나? 풀이 코드 package com.chanhue.algorithm.백준.골드import java.util.PriorityQueueimport kotlin.math.sqrt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node = mutableListOf>() repeat(n) { val (x, y) = readLine()!!.split(" ").map { it.toDouble() } node... 2025. 4. 12. [kotlin, 프로그래머스] 최소신장트리 문제와 입출력최소 신장 트리 (Minimum Spanning Tree, MST)의 정의와 특징정의최소 신장 트리는 가중치가 할당된 무방향 그래프에서 모든 정점을 포함하면서 간선의 가중치 합이 최소가 되는 트리입니다.특징트리의 간선 수: (V - 1)개의 간선을 가집니다.사이클 없음: 트리 구조이므로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습니다.가중치 최소화: 모든 정점을 연결하면서 간선의 가중치 합이 최소가 되어야 합니다.사용 예통신 네트워크 구축: 노드들을 가장 적은 비용으로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최소신장트리(MST) 구현 방법 - 크루스칼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 사용 크루스칼간선을 가중치 순으로 정렬 후, 작은 것부터 선택 (사이클 방지)간선 정렬 + 유니온 파인드 (Union-Find)프림정점 기준으로, 현재 트리.. 2025. 4. 12. 이전 1 2 3 4 ··· 28 다음